이반가구 자세히보기

카테고리 없음

환경 지표의 언어, 단위(Unit)의 세계, 흥미로운 환경 단위

ebangagu 2024. 12. 11. 10:09

안녕하세요~ 이반입니다.

도대체 환경에 대한 기사를 점점 많이 접하는 시대인 듯한데 그 기사들중엔 뜻풀이 없이 단위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사실 한번 들어서 늘 파악을 하고 있진 않지만 그래도 이번 글에서 그 단위들을 모아 봤습니다.

 

1. 대기질 관련 단위

미세먼지 (PM, Particulate Matter)

  • PM10 (μg/m³, 마이크로그램/세제곱미터) 미세먼지를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입니다.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μm) 이하인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의미합니다.
    • 정상 수치: 0-30 μg/m³ (WHO 기준)
    • 주의 수준: 31-80 μg/m³
    • 위험 수준: 81 μg/m³ 이상
  • PM2.5 (μg/m³) 초미세먼지를 나타내는 단위로, 지름이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입자의 농도입니다.
    • 정상 수치: 0-15 μg/m³
    • 주의 수준: 16-35 μg/m³
    • 위험 수준: 36 μg/m³ 이상

역사적 배경: 1987년 EPA(미국 환경보호청)가 처음으로 PM10 기준을 도입했으며, 1997년에는 PM2.5 기준이 추가되었습니다.

측정 방법: 베타선 흡수법이나 중량농도법을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현대에는 광산란 방식의 센서도 널리 사용됩니다.

 

 

이산화질소 (NO₂) - ppb, ppm

  • ppb(parts per billion, 십억분율)와 ppm(parts per million, 백만분율)으로 표시
  • 정상 수치: 0-30 ppb (시간당 평균)
  • 주의 수준: 31-100 ppb
  • 위험 수준: 101 ppb 이상
  • 인체 영향: 호흡기 질환, 천식 악화,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오존 (O₃)

  • 측정 단위: ppm 또는 ppb
  • 정상 수치: 0-0.03 ppm (8시간 평균)
  • 주의 수준: 0.031-0.09 ppm
  • 위험 수준: 0.091 ppm 이상
  • 측정 방법: 자외선 광도법(UV Photometry)

일산화탄소 (CO)

  • 측정 단위: ppm
  • 정상 수치: 0-2 ppm (8시간 평균)
  • 위험 수준: 9 ppm 이상
  • 치명적 수준: 35 ppm 이상 (1시간 노출 시)
  • 측정 방법: 비분산적외선법(NDIR)

 

 

대기질 단위의 변환과 해석

PPM ↔ PPB 변환

  • 1 ppm = 1,000 ppb
  • 예시: 0.05 ppm의 이산화질소는 50 ppb와 같습니다.
  • 실생활 비유: 1 ppm은 물 1톤(1,000L)에 우유 1mL를 섞은 농도와 같습니다.

μg/m³ ↔ PPM 변환

  • 기체별로 다른 변환계수를 사용
  • 이산화질소(NO₂)의 경우: 1 ppb = 1.88 μg/m³ (25°C, 1기압 기준)
  • 오존(O₃)의 경우: 1 ppb = 2.00 μg/m³

 

도 해석의 실제:

 

1.체감 농도

  • PM10이 100 μg/m³일 때: 창밖이 뿌옇게 보이기 시작
  • PM2.5가 35 μg/m³ 이상: 실외 활동 자제 권고
  • 오존 0.12 ppm: 눈이 따갑고 기침이 날 수 있음

2.시간대별 특성

  • NO₂: 출퇴근 시간대 농도 상승
  • O₃: 햇빛이 강한 오후 2-5시경 최고치
  • CO: 차량 통행이 많은 시간대 증가

 

2. 수질 관련 단위

B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Biochemical Oxygen Demand)

  • 측정 단위: mg/L (밀리그램/리터)
  • 정상 수치: 1-2 mg/L (1급수)
  • 관리 기준:
    • 1급수: 2 mg/L 이하 (식수원, 자연보호구역)
    • 2급수: 3 mg/L 이하 (수영, 레저 가능)
    • 3급수: 6 mg/L 이하 (공업용수로 사용 가능)
    • 4급수: 8 mg/L 이하 (농업용수로 제한적 사용)
  • 측정 방법: 20℃에서 5일간 미생물이 소비한 산소량 측정
  • 역사적 배경: 1908년 영국의 하수처리 연구에서 시작

COD (화학적 산소요구량, Chemical Oxygen Demand)

  • 측정 단위: mg/L
  • 정상 수치: 2-4 mg/L (깨끗한 강물 기준)
  • 측정 시간: 약 2시간 (BOD보다 빠른 결과)
  • 환경 기준:
    • 청정 수역: 2 mg/L 이하
    • 약간 오염: 4 mg/L 이하
    • 오염됨: 8 mg/L 이상

pH (수소이온농도지수 potenz Hydrogen 페하:독일식발음)

  • 측정 범위: 0-14 (무차원)
  • 중성: pH 7.0
  • 음용수 적정 범위: 6.5-8.5
  • 수생태계 적정 범위: 6.5-8.5
  • 측정 방법: pH미터, 시험지
  • 인체 영향:
    • pH 5.5 이하: 피부 자극
    • pH 9.0 이상: 점막 손상 가능

 

탁도 (Turbidity)

  • 측정 단위: NTU (Nephelometric Turbidity Unit) 또는 FTU (Formazin Turbidity Unit)
  • 정상 수치: 0.5 NTU 이하 (음용수 기준)
  • 환경 기준:
    • 수돗물: 0.5 NTU 이하
    • 하천: 1-5 NTU (1급수)
  • 측정 방법: 산란광 측정법
  • 역사적 배경: 1900년대 초 Jackson Candle Method에서 시작

DO (용존산소량, Dissolved Oxygen)

  • 측정 단위: mg/L 또는 ppm
  • 정상 수치: 7-14 mg/L
  • 생태계 영향:
    • 5 mg/L 이하: 어류 스트레스
    • 3 mg/L 이하: 대부분의 수생생물 생존 곤란
    • 2 mg/L 이하: 혐기성 분해 시작
  • 측정 방법: 전극법, 윙클러법

 

 

전기전도도 (EC, Electrical Conductivity)

  • 측정 단위: μS/cm (마이크로시멘스/센티미터)
  • 정상 수치:
    • 순수한 물: 0.055 μS/cm
    • 음용수: 500 μS/cm 이하
    • 해수: 약 50,000 μS/cm
  • 측정 원리: 물속 이온의 전기 전도 능력 측정

 

 

3. 소음 관련 단위

데시벨 (dB, Decibel)

  • 측정 범위: 0-194 dB
  • 주요 기준:
    • 0 dB: 인간 청각 최소 한계
    • 30 dB: 조용한 도서관
    • 60 dB: 일상적 대화
    • 85 dB: 청력 손상 시작 지점
    • 120 dB: 통증 역치
  • 특징: 로그 스케일 사용
    • 10 dB 증가 = 소리 강도 10배 증가
    • 3 dB 증가 = 소리 에너지 2배 증가

주파수 가중치

  • dB(A): 인간 청각 특성 반영
  • dB(C): 저주파 영역 강조
  • dB(Z): 가중치 없는 실제 음압 레벨

 

방사능 관련 단위

시버트 (Sv, Sievert)

  •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을 나타내는 단위
  • 하위 단위: mSv(밀리시버트, 1/1000 Sv), μSv(마이크로시버트, 1/1,000,000 Sv)
  • 연간 자연방사선량: 2.4 mSv
  • 노출 영향:
    • 100 mSv: 암 발생 위험 증가 시작
    • 1,000 mSv: 일시 노출시 방사선 증후군 발생
    • 8,000 mSv: 100% 치사량
  • 측정 방법: 개인선량계, 서베이미터

베크렐 (Bq, Becquerel)

  • 방사성 물질의 방사능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
  • 1 Bq = 1초당 1개의 원자핵 붕괴
  • 식품 기준:
    • 일반식품: 100 Bq/kg 이하
    • 유아식품: 50 Bq/kg 이하
  • 역사적 배경: 1975년 국제단위계(SI) 도입

그레이 (Gy, Gray)

  • 흡수선량을 나타내는 단위
  • 1 Gy = 물질 1kg당 1줄(joule)의 에너지 흡수
  • 인체 영향:
    • 0.5 Gy: 일시적 혈구 감소
    • 2-5 Gy: 급성 방사선증후군
    • 10 Gy 이상: 치명적 손상

 

탄소배출 관련 단위

이산화탄소 환산량 (CO₂eq)

  • 모든 온실가스를 CO₂ 기준으로 환산
  • 측정 단위: 톤(t), 킬로톤(kt), 메가톤(Mt)
  • 지구온난화지수(GWP) 기준:
    • CO₂: 1
    • CH₄(메탄): 28
    • N₂O(아산화질소): 265
  • 개인 연간 평균 배출량: 7.2 tCO₂eq (한국 기준)

탄소발자국 (Carbon Footprint)

  • 측정 단위: kgCO₂eq
  • 일상생활 예시:
    • 1km 자동차 주행: 0.2 kgCO₂eq
    • 1kWh 전력사용: 0.45 kgCO₂eq
    • 쇠고기 1kg 생산: 27 kgCO₂eq

탄소집약도 (Carbon Intensity)

  • 단위: gCO₂eq/kWh 또는 tCO₂eq/GDP
  • 전력 생산 방식별:
    • 석탄발전: 820 gCO₂eq/kWh
    • 가스발전: 490 gCO₂eq/kWh
    • 태양광: 48 gCO₂eq/kWh
    • 원자력: 12 gCO₂eq/kWh

 

나올법한 단위들을 모아봤는데 많군요~

물론 전문가들과 정부에서 위험 수치일 경우에는 발표를 해 주겠지만 어느 정도인지는 가늠이 옵니다.

 

환경 관련 국제기구와 각국의 주요 기관들이 이런 수치를 관리하고 지침을 내리는 곳들이 있지요~ 정리해보면..:

 

국제기구:

UNEP (유엔환경계획)

  • 설립: 1972년
  • 본부: 케냐 나이로비
  • 주요역할: 전 세계 환경문제 모니터링, 환경기준 제시

WHO (세계보건기구)

  • 대기질 가이드라인 제시
  • 수질 안전 기준 설정
  • 방사능 노출 한계치 권고

IPCC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 설립: 1988년
  • 역할: 기후변화 관련 과학적 평가 제공
  • 탄소배출 관련 국제 기준 제시

IAEA (국제원자력기구)

  • 방사능 관련 국제 기준 설정
  • 원자력 안전 지침 제공

 

각국 주요 기관:

미국 EPA (환경보호청)

  • 가장 영향력 있는 국가 환경기관
  • 많은 국가들이 EPA 기준을 참조

한국 환경부

  • 우리나라 환경정책 총괄
  • 대기환경보전법, 수질환경보전법 등 관리

유럽환경청 (EEA)

  • EU 회원국의 환경기준 설정
  •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각 기관들은 정기적으로 환경기준을 업데이트하고 있으며, 서로 긴밀히 협력하여 지구 환경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반가구의 환경 친화적 접근 이러한 환경 단위들의 이해는 제조업체의 환경 책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반가구는 LPM E1등급 자재를 사용하여 폼알데하이드 방출량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생산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는 실내 공기질 개선과 환경 보호에 기여하며, 고객들에게 더 건강한 생활 환경을 제공 할 수 있도록 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이반~!!

 

 

.